심혈관센터
통합콜센터
051)890-6114
051)890-6114
진료소개
관련사이트
1) 심도자술
심도자 검사는 가느다란 관(도자)을 서혜부 혈관이나 손목 혈관으로 심장 및 혈관 각 부위에 삽입합니다. 도관을 통해 혈액 검사 및 압력을 측정하고 심장과 그 혈관계의 구조적 이상 및 병태, 생리, 혈역학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술입니다.2) 관상동맥 조영술 및 성형술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관(도자)을 삽입하여 약물(조영제)을 주입하면서 심장과 관상동맥을 촬영하는 것을 조영술이라고 합니다. 조영술을 통해 막힌 혈관의 부위와 심한 정도가 진단이 되면 좁아지거나 막힌 혈관에 가이드 철선을 넣어 풍선을 부풀려 좁아진 혈관을 넓혀 주는 관상동맥 확장성형술을 하여 혈관 통행로를 넓히고 혈액순환이 원활해지도록 합니다. 만약 풍선 확장술 직후 충분히 혈관이 확장되지 않았을 때 스텐트(그물망)를 삽입합니다.3) 다리혈관 조영술 및 성형술
보행 시 간헐적 파행(통증으로 절뚝거림)이 있거나 중증 하지 허혈로 인해 상처치유에 장애가 있거나 괴사가 발생하는 환자의 말초동맥에 관을 삽입하여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말초동맥을 촬영합니다. 조영술을 통해 막힌 혈관의 부위와 심한 정도를 진단하여 필요 시 좁아진 혈관에 풍선을 부풀려 좁아진 혈관을 넓혀주거나 죽상경화반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죽종 절제술을 시행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합니다. 풍선 확장술이나 죽종절제술 시행 후에도 충분히 말초동맥이 확장되지 않았을 경우 스텐트(그물망)을 삽입합니다.4) 폐혈관 조영술 및 풍선 확장술
정맥에 생긴 혈전이 심장을 거쳐 폐동맥으로 이동하면 이에 의해 폐동맥이 폐색되어 폐동맥의 압력을 상승시켜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폐동맥 혈전색전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제대로 치료되지 않고 만성화 되는 경우 만성 혈전색전성 폐고혈압증으로 진행하여 환자는 호전되지 않는 중증 호흡곤란으로 고통받게 됩니다. 만성 혈전 색전성 폐고혈압 환자의 폐동맥에 관을 삽입하여 조영제를 주입하여 폐동맥을 촬영합니다. 조영술을 통해 폐동맥 내에 존재하는 혈전의 위치가 확인되면 혈전으로 인해 폐색된 혈관에 풍선을 부풀려 막힌 폐동맥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합니다. 수술이 어려운 폐동맥 말단부위까지 시술이 가능하여 만성 혈전 색전성 폐고혈압환자의 활동 능력, 삶의 질, 기대수명을 향상 시켜 줄 수 있습니다.5) 대동맥 조영술 및 대동맥 스텐트 삽입술
대퇴동맥을 통해 도관을 삽입하여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대동맥의 형태 및 병변을 확인합니다. 대동맥질환(대동맥류, 대동맥 박리 등)이 진단되면 스텐트(Graft Stent)를 삽입합니다.6) 승모판 풍선 확장 성형술
대퇴 정맥을 통하여 특수바늘로 심방중격을 천자하고, 좌심방을 통해 좌심실로 풍선카테터를 삽입해 승모판 협착부위를 풍선으로 확장시키면서 판막 유착부위를 분리시키는 시술입니다. 이 시술을 통해 승모판 질환자들은 개흉술을 통한 수술을 받지 않고 수술흉터와 큰 고통 없이 판막의 협착으로 인한 심부전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7) 대동맥 판막 치환술(Trans-catheter aortic valve replacement, TAVR)
심각한 대동맥 판막 협착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대퇴 동맥을 통하여 도자를 넣어 심장까지 이르게 한 후 인공판막을 부착한 스텐트를 대동맥 판막 위치에 삽입하는 시술입니다. 주로 고령, 동반질환 등으로 인해 개흉술을 통한 수술이 매우 위험한 환자에게 시행되고 있으며 수술에 비해서 시술시간이 짧고, 통증이 적으며, 입원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습니다.8) 심낭 삼출액 제거술
심낭(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 내에 체액, 혈액 등이 고여 심장의 수축기능을 방해하는 상태를 심낭 삼출이라고 합니다. 심낭 삼출액 양이 많은 환자에서 심낭 내에 바늘을 삽입해 심낭액을 흡인해 내는 시술입니다. 검사물 채취하여 심낭 삼출의 원인을 밝히는 진단적 목적과 심장 눌림증 발생시에 체액/혈앱을 제거하고 심낭내 압력을 완화시켜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치료적 목적이 있습니다.9) 인공심장 박동기 삽입술
인공심박동기란 심장 고유의 전기자극을 만들지 못하거나 전기자극이 잘 전달되지 않아 발생되는 느린 맥박(동기능 부전 및 방실차단)환자에게 정상적인 맥박 형성을 돕기 위해 체내에 삽입하는 기계입니다. 인공심박동기는 국소마취 후 흉부의 피부 절개를 통해 삽입하게 되며, 배터리와 전극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배터리 수명은 기종과 환자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평균 7~13년이며 배터리 소진 시 인공심박동기 교환술을 시행하게 됩니다.10) 이식형 제세동기 삽입술
이식형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ICD)는 돌연사 또는 급성 심장사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삽입하게 되며, 빠른 심실빈맥 또는 불안정한 리듬인 심실세동이 발생한 경우 전기적 자극 또는 전기 쇼크를 주어 정상맥박으로 회복시키는 기계입니다. 인공심박동기와 같이 배터리와 전극선으로 구성됩니다. 흉부 피부 아래 삽입하게 되며 배터리 수명은 기종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평균 6~11년이며 배터리 소진 시 제세동기 교환술을 시행하게 됩니다.11) 이식형 심장 사건 기록기 삽입술
환자의 증상(어지러움, 원인 모를 실신 등)이 비정상적인 심장리듬과 관련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환자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 및 관찰하는 기계입니다. 최근의 기계는 아주 소형으로 국소마취 후 흉부의 피부 절개를 통해 간단히 삽입할 수 있습니다.12) 심장 재동기화 장비 삽입술
심부전 환자의 심실간 전기전도가 극도로 느려져 심근 수축의 부조화가 발생하는 경우 전체적인 심장 수축능이 감소하여 심부전의 임상 양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삼장 재동기화 치료는 이런 환자에서 삽입된 기계를 통해 인위적으로 심실간 박동 시기를 맞추어 심장박동을 조율하여 전반적인 심장 수축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치료 방법입니다. 국소마취 후 흉부의 피부 절개를 통해 삽입하게 되며, 배터리와 전극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심박동기 방식(CRT-P)과 제세동기와 결합된 방식(CRT-D)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심장의 박동과 그에 따른 심기능 개선 뿐 아니라 제세동기와 결합하여 급성심장사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계를 삽입하게 됩니다.13) 전기생리학 검사 및 전극도자 절제술
전기생리학 검사는 부정맥을 재현시켜 그 원인을 찾아내기 위한 진단적 검사이며 그 결과로 확인된 부정맥을 약물로 치료할 것인지 전극도자 절제술로 절제할 것인지 결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검사 방법은 혈관을 통해 3~4개의 전극도자를 삽입하여 심장 안에 위치시킵니다. 이 전극도자를 통해 심장 안에 전기적 흐름을 기록하게 됩니다. 그 다음 전기자극을 주어 부정맥을 유도하거나 종료시켜 그 부정맥의 기전과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전극도자 절제술은 전기생리검사로 발견된 부정맥을 고주파에너지를 통해 열을 가하여 부정맥의 원인 부위를 없애거나 회귀회로를 차단하는 시술입니다.14) 3차원 영상 (3D)을 이용한 전극도자 절제술
3차원 영상 (3D)을 이용한 전극도자 절제술은 3차원 mapping system 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구조, 부정맥의 원인이 되는 부위, 부정맥의 기전과 양상을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시술중에는 미리 촬영한 CT 등의 영상검사의 도움을 받아 시술자가 직접 재구성한 심장의 3차원 영상에서 부정맥의 진행 방향을 관찰 하면서 시행 하므로 2차원 영상과는 달리 심장내부 어느 곳에서 부정맥이 발생하고 어떤 양상을 가지고 있는지 3차원의 영상을 통해 좀더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심방세동, 심실성 부정맥, 심장수술 또는 심장기형과 관련된 부정맥 등의 고난이도 부정맥 시술에 사용하게 됩니다.15) 혈관 내 초음파
관상동맥 조영술은 3차원의 혈관 구조를 2차원의 영상으로 보는 것이기 때문에 병변의 형태 및 죽상경화반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초음파 탐촉자가 붙어있는 가느다란 도관(Intravascular ultrasound, IVUS)을 관상동맥에 삽입하여 협착 정도, 내경, 모양, 혈관벽의 두께 및 죽상종의 성분, 혈전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고 스텐트 삽입시 이상적인 형태와 크기로 정확하게 삽입하여 시술후 재협착이나 폐쇄 등의 합병증을 미리 예방 함으로써 예후에 도움을 줍니다.16) 대동맥 내 풍선 펌프
대퇴동맥으로부터 풍선을 부착한 관을 대동맥내에 좌쇄골하동맥 아래까지 삽입하고, 풍선의 수축과 확장을 심장의 박동주기에 맞추어 동작시켜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고 심근에 혈액공급을 증가시키고 심박출 부담을 감소시켜 심장기능을 개선하고 혈압을 유지시키는 장치입니다.17) 심근분획 혈류예비력 검사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인한 허혈 정도 기능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좋은 지표로, 병변을 전후의 혈관내 압력의 차이를 구하여 혈류 장애의 정도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혈관조영술이나 혈과내 초음파 등에서 발견된 병변이 실제 환자 증상, 임상적인 허혈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알 수 있어 적절한 시술 결정에 효용성이 있음이 많은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습니다.18) 응급 심폐체외순환기
중증 심장기능 장애로 인한 급성 심부전 환자에서 심장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심장과 폐 순환을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정맥에서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의 일부를 대퇴정맥에 삽입한 도관을 통하여 몸 바깥으로 빼내고, 기계를 통과시켜 산소가 풍부한 혈액으로 만든 후에 대퇴동맥에 삽입한 도관을 통하여 혈액을 주입시켜 주는 순환 보조 방법입니다.1) 심장초음파
앞가슴에 초음파 탐촉자를 대어 뛰고 있는 심장을 영상으로 관찰하고 혈류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심장의 구조 및 기능을 쉽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선천성 심장병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심장질환의 진단 및 경과 관찰에 필수적인 검사입니다.2)경식도 심초음파
경식도에 초음파관을 삽입하여 심장을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관찰합니다. 일반 심초음파 검사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어 일반심초음파로 진단하기 어려운 판막질환, 심내막염, 뇌졸중의 원인 등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습니다.3)약물경련 심초음파
관상동맥 경련에 의한 협심증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로 심장초음파와 동일한 방법으로 약물을 주입하며 심장의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4)약물부하 심초음파
약물을 주입하여 심근의 수축력과 심박동수를 항진시켜 관상동맥 질환 또는 판막질환 등을 진단하는 심초음파 검사입니다.5)경동맥 내중막두께검사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목에 초음파 탐촉자를 대고 경동맥 내 혈액의 흐름과 경동맥 내막의 두께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동맥폐색, 동맥협착, 동맥경화증의 발생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1) 운동부하 검사
경사와 속도를 변경 할 수 있는 트레드밀 위를 환자가 뛰게 하면서 심전도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협심증과 부정맥 진단에 중요한 비침습적 검사입니다. 주로 관상동맥질환, 운동과 관련된 부정맥, 실신의 진단적인 목적으로 사용됩니다.2) 24시간 활동중 혈압측정검사
24시간 동안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장비를 가지고 15~30분 간격으로 환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일상적인 활동시의 혈압과 수면시의 혈압을 측정하여 고혈압 치료에 많은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1) 활동 중 심전도 검사
환자의 전흉부에 휴대용 심전도 기록기를 부착하고 증상과 활동내역을 기록함으로써 증상과 부정맥과의 관련성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주로 심계항진, 실신, 흉통, 호흡곤란, 어지러움의 증상이 부정맥에 의한 것인지에 관해 판단할 때 시행합니다.2) 기립경 검사
실신을 자주 경험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혈관 미주신경성 실신의 진단과 치료약제를 결정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침대에 누워서 혈압과 맥박을 측정한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침대의 경사를 조절하고 약물을 주입하면서 혈압과 맥박, 증상을 감시하면서 기록합니다. 검사 도중 혈압이나 맥박수가 감소하거나 실신 증상이 재현되는 경우 양성 반응으로 판단하게 됩니다.3) 심박동기 / 이식형 제세동기 / 심장 재동기화 치료 검사
심박동기, 이식형 제세동기, 심장 재동기화 장비의 경우 기계의 이상이나 새로이 발생한 부정맥의 진단을 위해 정기적인 검사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환자는 침대에 누워 부정맥으로 인하여 기계를 이식한 환자를 대상으로 침대에 누워 비침습적으로 기계의 잔존 배터리, 이식된 전극의 상태 및 부정맥의 유무 등을 검사하며, 기계를 최적화 시키게 됩니다.동맥혈관 탄성도 검사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팔, 다리의 혈압과 혈류 속도 등을 비교하여 사지 및 대동맥 혈관질환을 진단하고, 동맥경화 혈관 노화 및 말초동맥 혈관질환의 정도를 조기발견 할 수 있는 비침습적 검사입니다.